1. Project 생성하기
새 프로젝트를 Generators에서 Spring initializr를 선택한다
Name은 프로젝트 이름이자 폴더 이름으로 생성된다.
Create Git Repository를 선택하면 Git까지 생성된다.
Group에서 패키지 2단계까지 설정되고 Artifact에서 3단계 패키지를 작성하면 기본적으로 Package name에 작성된다.
JDK는 Amazon Corretto version 11.0.18을 사용했다.
Packaging은 Jar를 선택한다.
next를 선택해서 Dependencies를 선택하는 창으로 넘어온다.
Spring boot 버전을 2.7.12로 설정 ( 중요 )
dependencies 중에선 Lombok , Spring Web , Thymeleaf를 선택한다.
첫 화면으로 뜨게 되는데 처음이면 다운로드되는 파일들이 많아서 끝날때까지는 건드리지 않는 게 좋다.
build.gradle은 Spring Framework의 pom.xml와 같다.
Demo1Application에서 main 메서드로 처음을 시작한다.
static은 CSS나 Image같은 정적파일들을 보관하고
templates에서 기존 Spring Framework의 JSP같이 화면을 띄워줄 파일들을 보관한다.
application.properties에선 DB등 각종 설정을 적용하는 문구들이 작성될 것이다.
Controller 패키지를 생성 후 HomeController에서 index 메서드를 작성
templates에서 HTML 파일을 만들면 된다.
application.properties 파일에
server.port=8081이라고 작성하면 8081포트에서 실행된다.
기본적으로 선택이 되있고 실행만 하면 된다.
브라우저가 작동되지 않고 TomCat이 8081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주소를 입력하면 작동되는것을 확인할 수 있다.
2. JSP처럼 HTML 불러오기
Spring Framework와 같이 같은 방식으로 html을 불러올 수 있다.
3. RequiredArgsConstructor 생성자 주입 방식
@RequiredArgsConstructor는 Final을 적용한 필드를 매개변수로 하는 생성자를 만들어준다.
즉 ,
- @RequiredArgsConstructor 어노테이션 작성
- Final 필드 선언
이러면 @Autowired와 같다.
최근 2~3년 내에는 @Autowired보다는 이 방법을 사용한다.
'Spring > Spring boot icia 68일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boot 예제 만들기 (0) | 2023.05.30 |
---|---|
Spring boot Database - Entity (0) | 2023.05.30 |
Spring framework와 Spring Boot의 차이 (0) | 2023.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