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sual Studio Code/Visual Studio Code icia 34일차
Visual Studio Code JavaScript 문법
swkn
2023. 4. 10. 16:39
1. 콘솔창에 출력법
java에서는 System.out.println("X"); 문법을 사용했지만
vscode에서 console창에 출력하려면
console.log("X"); 를 사용한다.
console.log("Hello Javascript!!");
2. 변수 선언 - let
java에서는 int num = 10; 등으로 변수를 선언했었는데
vscode에서는 다르다.
var num1 = 10; // 옛날 방식
console.log("num1", num1);
let num2 = 20;
console.log("num2", num2);
let str1 = "안녕하세요";
console.log("str1", str1);
vscode에서는 타입이 생략되기 때문에 쓰지 않는다.
3. 변수 선언 - const
const num3 = 7;
console.log("num3", num3);
num3 = 777;
console.log("num3", num3);
위를 실행하면 에러가 뜬다
const는 값이 변하지 않는 상수이기 때문이다.
java로 생각하자면 final과 같다.
4. Typeof
선언했을 때 타입을 적지 않는다고 타입이 없는 것이 아니다.
입력한 값에 맞춰 자동으로 형변환 되는것이다.
let var1 = 10;
console.log("var1 타입: ", typeof var1);
var1 = "안녕";
console.log("var1 타입: ", typeof var1);
var1 = true;
console.log("var1 타입: ", typeof var1);
var1 = 0.123;
console.log("var1 타입: ", typeof var1);
let으로 선언한 변수라 항상 다른 값을 넣을 수 있으며 타입이 계속해서 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타입 확인이 바로 typeof이다.
5. vscode에서의 if문
script문에서 if문을 사용 가능하다.
const var2 = 10; const var3 = "10"; if (var2 === var3) { console.log("둘이 같아요"); } else { console.log("둘이 달라요"); }vscode에서 == 와 ===는 각 의미하는 바가 다르다.
== : 값이 같은지 비교(알아서 형변환해서 값만 비교)
=== : 값, 타입이 모두 같은지 비교
var2는 number타입 10 ,
var3는 string 타입 10이므로
== 을 사용하면 값이 같으므로 " 둘이 같아요 " 출력,
=== 을 사용하면 타입이 다르므로 " 둘이 달라요 " 가 출력되게 된다.